본문 바로가기
뉴스의 모든것

달러 환율 하락과 원화 강세

by coldbrew_ 2023. 6. 13.
반응형

환율 하락의 주요 요인

1. 미국의 역 RP 금리 인하

  • 미국의 역 RP(Reverse Repurchase) 금리 10bp 인하 발표
  •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부채 증가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최대한 낮추지 않던 중국의 방향 전환 신호

2.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OMC)의 금리 인상 신중론

 

  • 파월 의장의 신중론 발언과 제퍼슨의 스킵 용인 발언으로 6월 FOMC에서의 금리 인상 스킵 가능성 부각
  • 연준의 완화적인 태도와 경기 및 자산 시장 관련 우려를 시장 참여자들이 인식하게 됨

3. 중국 경기 반등 및 수출 개선 기대

  • 중국인민은행의 통화 완화 전환 소식으로 중국 경기 개선 기대
  • 중국의 개선된 경제 상황과 수출 증가에 따른 무역 흑자 확대 가능성

4. 국제 유가 하락

  • 사우디의 감산 이후 국제 유가가 하락하여 수입 축소와 무역 적자 감소에 도움

달러 환율 하락 이유
달러 하락 이유

원화 강세의 이유와 효과

1. 중국 경기 개선 및 반도체 경기 개선 기대

  • 중국 경기의 개선으로 인한 원화 강세 예상
  • 반도체 경기의 호조로 인한 원화 강세 예상

2. 연준의 금리 인상 기대 약화

  • 연준의 금리 인상 예상이 약화되어 원화의 강세를 지지하는 요인

3. 무역 적자 개선 기대

  • 중국 경기 개선과 함께 한국의 수출 개선 기대로 인한 원화 강세 예상
  •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한 에너지 수입 의존도 높은 한국 경제 지원

원화 강세의 부작용과 대응

 1. 다른 통화와의 강세 격차

  • 원화의 강세가 다른 엔화나 위안화와의 강세 격차로 이어지면 부담 요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