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의 모든것/보고서

[농업경제] 원재료 수입가격 상승과 가공식품 물가 전망

by coldbrew_ 2022. 10. 4.
반응형

원재료 수입가격 상승, 가공식품 지속 상승

국내 농산물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에 이어 최근까지 상승세가 지속 심화되는 양상될 것으로 보임.

 

1. 식품 물가와 원재료 가격

1.1. 농산물 및 가공식품 물가 동향
농산물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에 이어 최근까지 상승세가
지속 심화되는 양상

1.2. 원재료 가격 동향 및 전망
국제곡물 가격은 2020년 하반기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2021년 하반기부터는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다시 급등함. 2020년 4분기부터 국내 곡물 수입가격 상승이 시작됨.
작황 악화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곡물 가격(IGC GOI 기준)은 2022년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5.5%
상승함. 이는 국제곡물 가격상승 이전인 2020년 2분기와 비교할 경우 84.2% 상승한 것임.

 

2.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가공식품 물가 파급영향

2.1. 수입원재료 이용 업종의 원재료 구성과 원가 비중
수입원료 이용 식품산업 업종별 원재료 제조원가 비중은 54~78% 수준
국제곡물 등 수입원재료를 많이 이용하는 업종(생산품목)별 원재료비가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수입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식품기업의 생산·공급비용 변화를 추정하는 데 필수적으로 파악되어야 함

2.2. 원재료별 가격상승률과 원가 상승 요인
2022년 1분기 가공식품 원재료별 가격상승률
• 주요 가공식품의 원가가 2022년 1분기 주요 원재료의 가격 상승에 따라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는지
추정하고자, 2022년 1분기 가공식품 주요 원재료별 평균 가격의 전년 동기대비 상승률을 아래 표와
같이 산출함.
• 원재료별 가격상승률을 살펴보면 옥수수 35.8%, 대두(콩) 31.5%, 소맥(밀) 63.5%, 커피원두 71.3%,
원당은 37.0%로 나타남. 

2.3.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물가 파급영향계수와 파급영향
동일 가격변동에 따른 물가 파급영향계수는 밀, 원당, 옥수수, 대두 순
• 밀, 대두, 옥수수, 원당 등 국제 원재료 가격 10% 상승에 따른 업종별 물가에 대한 영향계수는 제분
3.96%, 제당 3.95%, 배합사료 2.33% 전분 및 당류 2.29% 순임.

 

3. 산업계 요구와 정부 대응

 - 산업계에서는 원재료 수급 및 물가 여건이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응답하며, 정부의 지속적인 대응 노력을
촉구하고 있음.

 - 우선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식량 국제가격 및 유가 상승으로 국내 가공식품 물가 동반 상승. 정부는 2022년
5월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소비자들이 주로 구매하는 식품에 대해 할당 관세를 한시적
으로 인하 또는 면제하는 등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출처 : (한국농업경제연구원) 원재료 수입가격 상승의 가공식품 물가 영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