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프트웨어공학4 [소프트웨어공학] 일정 관리 기법, 일정 단축 기법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일정 관리 방법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프로젝트 팀의 의사 소통과 관리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일정 관리 기법 Network Diagram (PERT/CPM) 내용: Network Diagram은 프로젝트의 작업 흐름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는 방법으로, Float(여유 시간)과 작업 간의 종속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팀 내 의사 소통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용도: 프로젝트 관리에 활용되며, 프로젝트의 계획성과 시각성을 우수하게 나타내줍니다. Bar Chart (Gantt) 내용: Bar Chart는 계획 대비 실적을 파악하기 쉽게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이해와 사용이 편리하며, 막대 그래프를 이용하여 효율적.. 2023. 6. 21. [소프트웨어공학] RAD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기법 모델 가. RAD기법 모델의 정의 - 2~3개월의 짧은 개발 주기 동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순차적인 프로세스 모델로서 빠른 개발을 위해 Visual Tool, Code Generation Tool을 사용. 나. RAD기법 모델의 특징 - 도구의 활용(CASE 도구, RDB, 재사용 Library 등) - Prototyping 사용 및 사용자가 요구사항 정의, 분석, 설계과정에 적극 참여 - 소요기간 : 60일 ~ 90일 정도의 짧은 기간으로 기술적 위험이 적고 빠른 개발이 요구될 때 적합 RAD기법 모델의 단계 가. JRP(Joint Requirement Planning) - 분석단계로서, 공동 욕두사항 정의 단계(phase) -.. 2023. 5. 5. [소프트웨어공학] 나선형 (Spiral) 모델 나선형(Spiral) 모형의 정의 개발 주요기능을 사전에 위험분석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최종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점진적으로 구현하는 방법(계획수립 → 위험분석 → 개발 → 평가) 선형순차 모델의 제어와 프로토타이핑의 반복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결합시킨 단계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Boehm 제안) 나선형 모형의 특징(Waterfall + Prototype + 위험분석) - 대규모 시스템 및 위험부담이 큰 시스템 개발에 적합(신기술 프로젝트, 신규 도메인 프로젝트) - Cirtical Success Features(성패를 좌우할 핵심 기능)를 먼저 개발 - 위험 명세화 및 위험 최소화에 최우선 : 성과를 보면서 조금씩 투자, 위험 부담 최소화 - 나선형 모델에서 소프트웨어는 점증적인 릴리즈의.. 2023. 5. 4. [소프트웨어공학] 프로토타입 모델(Prototype Model)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개발, 프로토타입 모델의 개요 가. 프로토타입 모델의 정의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분석할 목적으로 시스템의 중요 일부분을 우선 구현 후, 다시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개발모델(점진적 개발방법) - 짧은 시간내에 시제품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요구사항을 미리 확인하고, 기술적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일회용, 진화용 시제품) 나. 프로토타입 모델의 목적 - 사용자 참여유도를 통한 요구분석의 어려움 해결 - 요구사항에 대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 사용자와 의사소통 및 개발 타당성 검토 다. 프로토타입 모형의 종류 종류 내용 실험적 모형 (Experimental) - 실제 개발될 SW 일부분을 직접 개발하여 .. 2023. 1. 2. 이전 1 다음 반응형